IT Issue (9) 썸네일형 리스트형 SF영화 같은 가상세상 '메타버스'시대 시작됐다 www.mk.co.kr/opinion/contributors/view/2021/02/183745/ SF영화 같은 가상세상 `메타버스`시대 시작됐다 [Big Picture] 오프라인 세상 멈추자 가상 낚시터서 가족 만나고 온라인 게임 세상에서 美최고 래퍼 라이브 공연 즐겨 진짜같은 몰입감에 열광 진화하는 연결 의 의미 AR·VR·5G통신 기술 발달로 시공간의 의미 www.mk.co.kr 메타버스 관련하여 좋은 기사가 있어서 공유합니다. 정리하면, - 기존 디지털이 재현하지 못했던 일상의 연속성을 얼마나 몰입도있게 제공하느냐가 핵심 - AR/VR 기기와 끊김없는 빠른 통신 인프라스트럭쳐가 필수적이다 - 교육 어플리케이션 : 피라미드에 들어가서 미라를 만져보며 이집트 역사 - 의료 어플리케이션 : 마이크로소프..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futurecreator.github.io/2018/11/09/it-infrastructure-basics/?fbclid=IwAR0j1fsYC0ttOKHTB0puwDOGyBMO0pqfG2XXL6-Y8NXe6kajCfqE2oih6EY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최근 클라우드 관련 부서로 옮겨 클라우드 관련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개발은 했어도 인프라 지식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업무를 하다보니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인프라 기초를 정리해 futurecreator.github.io 가끔 개발에 대한 기본 개념 자체가 부족하다고 느낄 때가 있다. 그럴 때 한번씩 이런 글을 복습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다시 채워나가야겠다. 아마존의 커스텀 티셔츠 판매 서비스 : AI를 이용하여 사이즈를 추정하여 고객에게 정확한 핏의 의류를 제공 기사 : www.theverge.com/2020/12/16/22177980/amazon-made-for-you-custom-body-double-fashion Amazon will make custom-fitted $25 T-shirts after photographing your body Requires two full-body photos and all your measurements. www.theverge.com 서비스 링크 : www.amazon.com/dp/B08HPZ3RHR?ots=1&tag=theverge02-20&ascsubtag=[]vg[e]21942021[r]google.com[t]w[d]D Made-to-measure, customizable T-shirts Made-to-measu.. 폴더블폰의 시대 개막? 현재 스마트폰보다 폴더블 폰이 더 나은 점은 어떤게 있을까? 아직 출시 전인 와중에 예상되는 장점이 있다면... 화면이 더 넓다는 것..? 그래서 핸드폰으로 태블릿 크기의 이용 또한 가능하다는 것 정도 떠오른다. 근데 단점 및 의구심들을 들자면 우선 기존 스마트폰보다 편할 것인가? 접었다 폈다 하는게 아직은 굉장히 어색할 것 같고, 가격에서 지금 약 200만원 정도로 점치는 것 같은데 태블릿과 핸드폰을 따로 쓰는 이상의 가치가 있는가.. 에 대한 물음표가 생긴다. 지금 나오는 이슈들로는 가격 / 편의성 / 생산성 등에 대한 이슈들이 있고, 폴딩의 종류는 안으로 접는 인폴딩 / 바깥으로 접는 아웃폴딩 방식이 있다고 한다. 인폴딩이 구현이 더 어렵고, 접을 때 안쪽 디스플레이가 보이지 않는 우려 등이 있어 .. 누카리아 : AI 기반 영양제 조합 서비스 이거는 온라인 기사를 찾지 못했다. 추후 관련 기사를 찾으면 보강하는 것으로. 사실 나같은 경우에 영양제를 어떤 걸 사는게 좋은지 전혀 모르는데, 5분 정도의 설문을 통해 개인에 특화된 영양제를 추천해주면 참 고마울 것 같다. AI, 딥 러닝 또는 머신 러닝 기술이 제일 잘 하는 것 중 하나가 데이터의 분포에 따라 카테고리를 나누는 것인데, 영양제와 같이 사람들이 무지한 분야에서는 조금만 잘 나눠줘도 개개인에게 도움이 되고 이익 창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름슈타트 시 : 지능형 가로등(Smart Street Light) 도입 독일의 다름슈타트 시에서 지능형 가로등을 도입했다고 한다. 이걸 통해 차량 흐름 최적화 및 교통 체증 방지 예상하고 있다. AIoT 분야의 새로운 아이템 중 행정 조직들이 가장 탐스럽게 보내는 것이 스마트 교통 플랫폼이 아닐까 싶은데, 벤치마크가 필요한 모범사례로 보인다. 관련 기사 https://www.kommune21.de/meldung_30824_Smart+Lighting+optimiert+Verkehrsfluss.html 검색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위 기사가 독일어로 되어 있지만 구글이 잘 번역해준다. 결론은 갓구글. 보시(Bosch) : 사운드시 센서 시스템(SoundSee Technology) 네이버에 사운드시 시스템이라고 검색해서는 잘 나오지 않는다. 보쉬는 독일의 세계 최대 자동차 부품(전장)회사이고, 사운드시 센서 시스템(SoundSee Technology)은 이름에서 보면 유추되는데 자동차(기계)의 작동 소리만을 듣고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관련 기사 https://www.bosch.com/stories/acoustic-sensors/ 카디오그램(Cadiogram) : 심박수 데이터를 통한 사용자 건강 분석 데이터 분석을 통한 서비스 창출의 좋은 예. 단순 서비스 창출만이 아니라 목적 자체도 훌륭하다. 기술은 인간을 향할 때 가장 가치있다. http://www.itworld.co.kr/news/108151 계속 발전해서 근래에는 인기 웨어러블 기기 애플워치에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시켰다고 한다. 애플 워치에서 구동이 된다는 것은 상용성을 잡았다는 반증이고, 이 기업의 매력을 한번 더 올려준다.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