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에서 NVIDIA의 World 모델인 Cosmos가 등장했다.
Physical AI라고 칭하는 이 모델은 현실세계의 물리법칙에 맞춰서 동작하는 합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을 통해 로봇, 자율주행 등의 시뮬레이션에 유용할거라고 한다.
실제로 Cosmos를 최초로 도입한 기업의 리스트에 우버, Figure AI, 애자일 로봇 등이 있다.
‘NVIDIA Cosmos WFM 플랫폼’, 물리 AI의 세계로 안내하다 - NVIDIA Blog Korea
NVIDIA Cosmos™를 발표합니다. NVIDIA Cosmos는 최첨단 생성형 WFM(World Foundation Model), 고급 토크나이저, 가드레일, 가속화된 비디오 처리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된 플랫폼으로, 자율주행 차량(AV), 로봇과
blogs.nvidia.co.kr
이번에 공개한 Cosmos의 모델은 총 4가지 형태이다.
https://developer.nvidia.com/cosmos
NVIDIA Cosmos for Developers
Build, evaluate, deploy, and simulate physical AI models faster.
developer.nvidia.com
Autoregressive Model : 계산량이 비교적 적고 효율적인 모델로서 입력된 데이터의 그 다음 상태의 예측에 적합
Diffusion Model : 계산량이 비교적 많은 모델로서 고품질의 동영상 생성에 적합
Video Tokenizer : 무거운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손실량 적게 토큰화하는 encoder-decoder
Video Processing and Curation Pipeline : 대규모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
현재 Docker를 통해 로컬 서버에서도 inference가 가능하며, 그 외에 학습 코드 및 post-training 코드도 공개했다.
모델만 봤을 때는 기존의 이미지/비디오 생성 모델과 크게 다르진 않다.
허나, 학습 데이터의 구성과 실제 비디오를 생성해봤을 때 이 모델들의 초점이 '물리적 세계의 재현'에 맞춰져있다는 것에 대해 어느 정도 인지가 가능하다.
LLM, LMM에 이어 이러한 Cosmos같은 LWM의 등장이 시작된다는 사람들이 있다.
아직은 용어로서만 존재하는 형태로 이해가 되는데, 이것이 실제로 실체를 갖추게 될지 앞으로의 행보에 집중해볼 필요가 있다.
'AI > AI읽어주는 남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봇에 집중하는 구글과 엔비디아 (0) | 2025.04.01 |
---|---|
Figure AI의 새로운 로봇을 위한 AI 모델 Helix (0) | 2025.02.25 |
사티아 나델라 인터뷰: AI, 양자 컴퓨팅, 그리고 미래 기술 전망 (2) | 2025.02.21 |
Large World Model의 대표 회사는 어디가 있을까? : Fei Fei Li 교수의 World Labs 그리고 Google DeepMind의 Genie2 (0) | 2025.02.03 |
아바타를 만드는 AI 기술 : Talking Face Generation 기술의 종류 5가지를 알아보자 (0) | 2022.06.10 |